목차

  1. 자기소개 및 팀원 소개 (20초)
  2. 팀 문화 (30초) - 커뮤니케이션적인 우리팀만의 강점 찾아보세요
    1. 매일 아침 데일리 스크럼
    2. 배탈나거나 다이어트하지 않는 이상 같이 점심먹기 - 아직까진 없었습니다~
    3. 프론트,백엔드 이슈,수정상황이 생길경우 바로바로 말하기
    4. 팀원의 발목을 붙잡지 않고 야근을 강요하지 않는 퇴근 문화 (정해진 코어타임에만 빡세게!! 짧고 굵게!!)
  3. 핵심 기능 및 간단한 기획 설명 (1분)
    1. 현대 내 차 만들기 서비스에서

발표에 담을 내용 (BE)

  1. 아키텍처 구조 설명 (draw io) + 기술 스택 (1분)
  2. 역할 분담 (30초) 1. 2. 김정연 - 프론트엔드 CD, HTTPS, 도메인 관리 3. 김우혁 - AWS EC2 인프라 세팅, 데이터베이스 및 AWS S3 관리 4. 손승완 - 백엔드 CI/CD, 도커 관리
  3. 어떤 식으로 협업했는지 (30초)
    1. 노션 API 명세서 공유 방법 → Swagger 같은거를 왜 안썼냐? 에 대한 질문 대처
    2. 버그 및 이슈, 아이디어 페이지 좀 작업을 해야될 듯??
  4. 기술적 도전 or 고민했던 부분 or 힘들었던 부분 (약 4분..)
    1. 깃허브 잘 못다룬 이슈(코드 전체 날릴 뻔, 브랜치 main에서 떨어진거, be-develop에 있는 파일이 be-main, main에 없었던거)
      •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깃허브와 관련된 자잘한 이슈가 있었습니다. 우선 reset 명령어를 잘못 사용하여 구현한 코드를 통째로 날린 일이 있었습니다. → 정연님한테 여쭤보기
      • 또한 브랜치 관리를 잘못하여 main에서 be-main 브랜치가
    2. 성능 개선(API 로직 최적화 + 부하테스트 + 캐시)
      • 트림 선택 페이지, 내게 맞는 트림 찾기, 추가 옵션 선택 페이지
      • 처음에 몇 초 걸렸는지 이미지 보여주기
      • 부하테스트를 통해 시간이 오래 걸리는 API들을 찾아내어 캐싱과 로직 최적화를 통해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었다. 캐싱은 Spring boot 기본 캐시를 사용하였습니다.
    3. 판매량 더미 데이터 만들기 및 스케줄러 쿼리로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 기획 상에는 판매 데이터를 따로 가지고 있지 않고 그냥 각각의 옵션, 내장 색상 등에 구매 비율을 고정 값으로 설정한 것으로 기억
      • 판매 더미 데이터를 임의로 만들었고 MySQL의 이벤트 스케줄러를 통해 매일 새벽 3시에 해당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를 계산해서 구매 비율이 갱신되도록 스케줄링하였습니다.
    4. 통합테스트에서 유닛테스트로 수정하면서 테스트 커버리지 97% 도달했던 일화(수정 이유)
      • API개발 처음엔 테스트코드를 통합 테스트로 작성하였는데 다른 팀들과의 피어세션을 통해 단위 테스트로 진행하는게 더 좋을 것 같다는 피드백을 들었습니다. 팀원 모두 단위 테스트를 하는 방법을 잘 몰라 처음엔 어려움이 있었는데 서로 공부한걸 공유하면서 이를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5. spring data jdbc → jdbc template으로 넘어간 일화
    6. 내맞트 필터링 캐싱 + 부하 테스트
    7. 도커(nginx → HTTPS, spring)
    8. 깃허브 액션 + S3로 정적 웹 호스팅
    9. CloudFront → HTTPS 설정 후 배포 반영 안되는 문제 → 캐시 무효화
    10. ERD 설계에서 트림과 옵션을 연결하면서 생각하기 어려웠던 문제들을 트림과 기능을 연결하면서 해결
    11. DB 분리 안했다가 분리 한거

문득 궁금했던 점들 기록

발표에 담을 내용 (웹)

발표에 담을 내용 (FE)

기획과의 미팅에서 기능구현이 최우선이라는 얘기를 듣고, 프로젝트의 목표를 기능완성으로 설정하였다.

개발